벤츠 전기차 EQC 시승기 가격
내연기관 자동차 업계를 제패한 메르세데스-벤츠가 전기차에서 독보적인 삼각별 가치를 인정받을 수 있을까. 결론부터 말한다면 'No'다. 전기차로 벤츠는 다른 경쟁사를 절대적으로 압도할만한 벤츠다운 것을 보여주지 못했습니다. 못한 것이 아니라 불가능하다고 할까. 독보적인 것을 보여줄 어떠한 특징도 갖고 있지 못하기 때문이라 합니다. 벤츠는 내연기관 자동차의 제왕일 뿐입니다.
메르세데스-벤츠 전기차 브랜드 EQ의 처음 순수 전기차 EQC를 타보고 느낀 점입니다. 전기차 전문인 테슬라 모델보다 나쁘지 않은 점을 찾기 쉽지 않았습니다.
전기차를 비롯한 환경 차 시장은 해마다 몸집을 부풀리고 있습니다. 여러 브랜드가 경쟁적으로 친환경 차를 출시합니다. 혼합형부터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수소연료전지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전기와 모터를 활용하는 모델이 쏟아진다. 2019년이 돼서야 전기차를 출시하는 메르세데스-벤츠의 지행은 어쩌면 '너무 늦은 것이 아닐까?' 하는 상념이 들기도 합니다. 반대로 늦게 출시된 만큼 얼마나 단단히 준비했을지 기대감이 높아지는 대목입니다.
요번 시승 장소는 서울 가로수길을 출발해 경기도에 있는 포천 힉스를 왕복하는 약 120km 주행 코스다. 도심과 자동차 전상 황로가 적절하게 섞여 있습니다.
처음 마주한 EQC는 “엠블럼이 너무 큰 거 아니야”라는 상념이 뇌리를 스친다. 그릴을 가득 채우다시피 큼지막하게 자리한 벤츠의 삼각별은 상당한 존재감을 자랑합니다. 전체적인 외관 디자인은 전기차의 특성보다는 미래형 콘셉트카 느낌이 든다. 유선형으로 깎아 낸 면들이 유려하게 흐른다.
부드럽게 자리 잡은 헤드램프는 친환경임을 자랑이라도 하듯 푸른색으로 치장했습니다. 측면으로 돌아서면 상식적인 SUV과 쿠페형 SUV 사이 어딘가에 있는 듯한 지붕 선이 시선을 사로잡는다. 날렵하게 뻗은 캐릭터 라인은 마치 한 마리의 돌고래가 춤을 추듯 매끄럽게 연결됩니다. 후면부는 어디선가 본 듯한 그래픽의 후미등이 자리합니다. 직선으로 관통한 램프는 지금 유행하는 그래픽입니다.
문을 열고 실내로 들어서면 여느 벤츠 모델과 크게 차이를 발견할 수 없습니다. 차이점이라면 원형 송풍구 대신 자리한 사각형 송풍구 정도다. 로즈 골드로 치장한 열쇠 형태의 송풍구는 EQ만의 새롭게 디자인 언어로 EQC만의 차별화한 특징입니다. 실내 소재는 벤츠답게 고급스럽다. 그러나 1억 500만 원이라는 가격을 상념 해부면 쉽사리 이해하기 쉽지 않다.
상념보다 좁은 2열 공간은 전기차가 맞나 싶을 만큼 센터 터널이 높이 솟아 올라있습니다. 2열 승객을 위한 별도의 공조 장치나 열선 시트를 장만한 점은 좋지만 넉넉하진 않습니다. 전기차에서 으레 기대할 수 있었던 평평한 바닥 공간과 넉넉한 다리 공간은 EQC에선 찾아볼 수 없었습니다. 대신 트렁크 공간은 500L로 넉넉하게 챙겼다. 2열 시트를 폴딩 한다면 1 더 넓어진다.
EQC에는 새롭게 디지털 기술이 대거 탑재됐습니다. 단순한 이동수단을 넘어 일상의 동반자로 함께하겠다는 메르세데스-벤츠의 철학이 묻어난다 합니다. 디지털 계기반과 센터 디스플레이가 하나로 연결된 모습은 이젠 놀라움보다 익숙함에 가깝다. 새롭게 혁신은 소프트웨어에 있습니다. 메르세데스-벤츠의 최근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MBUX를 통해 충전 상태, 에너지 흐름 등을 확인할 수 있는 전기차 전용 기능이 포함됩니다. 한 전기차에 최적화된 내비게이션, 주행 상태, 충전 등을 제어하고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 외에 제일 특징적인 부분은 자연어 음성인식 기능을 통해 자동차를 제어할 수 있습니다는 점입니다. 가령 “안녕 벤츠”라고 한다면 음성인식 기능이 활성화됩니다. 이때 원하는 기능을 말한다면 되는데 온도조절은 물론 출발 시각에 맞춰 공조기 설정 등 다양한 조작이 가능합니다. 이는 자동차뿐 아니라 스마트폰 앱으로도 가능합니다. ‘메르세데스 미’ 앱을 스마트폰에 설치한다면 자동차 문 잠금, 출발 시각 설정, 온도 설정, 공기압 확인, 충전량 확인 등 다양한 기능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남현수 기자
남현수 기자
기자구독
페이스북 트위터 메일 프린트 스크랩 URL 복사
[이데일리 오토매틱 in] 가까이 남현수 기자= 내연기관 자동차 업계를 제패한 메르세데스-벤츠가 전기차에서 독보적인 삼각별 가치를 인정받을 수 있을까. 결론부터 말한다면 'No'다. 전기차로 벤츠는 다른 경쟁사를 절대적으로 압도할만한 벤츠다운 것을 보여주지 못했습니다. 못한 것이 아니라 불가능하다고 할까. 독보적인 것을 보여줄 어떠한 특징도 갖고 있지 못하기 때문이라 합니다. 벤츠는 내연기관 자동차의 제왕일 뿐입니다.
메르세데스-벤츠 전기차 브랜드 EQ의 처음 순수 전기차 EQC를 타보고 느낀 점입니다. 전기차 전문인 테슬라 모델보다 나쁘지 않은 점을 찾기 쉽지 않았습니다.
전기차를 비롯한 환경 차 시장은 해마다 몸집을 부풀리고 있습니다. 여러 브랜드가 경쟁적으로 친환경 차를 출시합니다. 혼합형부터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수소연료전지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전기와 모터를 활용하는 모델이 쏟아진다. 2019년이 돼서야 전기차를 출시하는 메르세데스-벤츠의 지행은 어쩌면 '너무 늦은 것이 아닐까?' 하는 상념이 들기도 합니다. 반대로 늦게 출시된 만큼 얼마나 단단히 준비했을지 기대감이 높아지는 대목입니다.
요번 시승 장소는 서울 가로수길을 출발해 경기도에 있는 포천 힉스를 왕복하는 약 120km 주행 코스다. 도심과 자동차 전상 황로가 적절하게 섞여 있습니다.
처음 마주한 EQC는 “엠블럼이 너무 큰 거 아니야”라는 상념이 뇌리를 스친다. 그릴을 가득 채우다시피 큼지막하게 자리한 벤츠의 삼각별은 상당한 존재감을 자랑합니다. 전체적인 외관 디자인은 전기차의 특성보다는 미래형 콘셉트카 느낌이 든다. 유선형으로 깎아 낸 면들이 유려하게 흐른다.
부드럽게 자리 잡은 헤드램프는 친환경임을 자랑이라도 하듯 푸른색으로 치장했습니다. 측면으로 돌아서면 상식적인 SUV과 쿠페형 SUV 사이 어딘가에 있는 듯한 지붕 선이 시선을 사로잡는다. 날렵하게 뻗은 캐릭터 라인은 마치 한 마리의 돌고래가 춤을 추듯 매끄럽게 연결됩니다. 후면부는 어디선가 본 듯한 그래픽의 후미등이 자리합니다. 직선으로 관통한 램프는 지금 유행하는 그래픽입니다.
문을 열고 실내로 들어서면 여느 벤츠 모델과 크게 차이를 발견할 수 없습니다. 차이점이라면 원형 송풍구 대신 자리한 사각형 송풍구 정도다. 로즈 골드로 치장한 열쇠 형태의 송풍구는 EQ만의 새롭게 디자인 언어로 EQC만의 차별화한 특징입니다. 실내 소재는 벤츠답게 고급스럽다. 그러나 1억 500만 원이라는 가격을 상념 해부면 쉽사리 이해하기 쉽지 않다.
상념보다 좁은 2열 공간은 전기차가 맞나 싶을 만큼 센터 터널이 높이 솟아 올라있습니다. 2열 승객을 위한 별도의 공조 장치나 열선 시트를 장만한 점은 좋지만 넉넉하진 않습니다. 전기차에서 으레 기대할 수 있었던 평평한 바닥 공간과 넉넉한 다리 공간은 EQC에선 찾아볼 수 없었습니다. 대신 트렁크 공간은 500L로 넉넉하게 챙겼다. 2열 시트를 폴딩 한다면 1 더 넓어진다.
EQC에는 새롭게 디지털 기술이 대거 탑재됐습니다. 단순한 이동수단을 넘어 일상의 동반자로 함께하겠다는 메르세데스-벤츠의 철학이 묻어난다 합니다. 디지털 계기반과 센터 디스플레이가 하나로 연결된 모습은 이젠 놀라움보다 익숙함에 가깝다. 새롭게 혁신은 소프트웨어에 있습니다. 메르세데스-벤츠의 최근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MBUX를 통해 충전 상태, 에너지 흐름 등을 확인할 수 있는 전기차 전용 기능이 포함됩니다. 한 전기차에 최적화된 내비게이션, 주행 상태, 충전 등을 제어하고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 외에 제일 특징적인 부분은 자연어 음성인식 기능을 통해 자동차를 제어할 수 있습니다는 점입니다. 가령 “안녕 벤츠”라고 한다면 음성인식 기능이 활성화됩니다. 이때 원하는 기능을 말한다면 되는데 온도조절은 물론 출발 시각에 맞춰 공조기 설정 등 다양한 조작이 가능합니다. 이는 자동차뿐 아니라 스마트폰 앱으로도 가능합니다. ‘메르세데스 미’ 앱을 스마트폰에 설치한다면 자동차 문 잠금, 출발 시각 설정, 온도 설정, 공기압 확인, 충전량 확인 등 다양한 기능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EQC에는 앞차축과 뒤 차축에 각각 하나씩 전기모터가 장착됩니다. 각각의 모터에 맡겨진 역할은 다르다. 우선 앞차축에 위치한 전기모터는 최상의 효율을 발휘하도록 세팅됐습니다. 뒤 차축의 전기모터는 다이내믹한 운전에 초점을 맞췄다. 두 개의 모터는 최고출력 408 매력, 최대토크 78.0kg.m를 발휘합니다. 공차 중량이 2 달 그러나 정지상태에서 시속 100km에 도달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단 5.1초다. 출발하자마자 대부분 힘을 쏟아내는 전기 모터의 특성이 여실히 드러난다 합니다. EQC의 주행 상태는 총 4가지로 에코, 안락, 스포츠, 인디 비주얼로 구성됐습니다. 스포츠로 주행 상태를 맞추고 액셀러레이터 페달을 끝까지 밟으면 순식간에 속도계 바늘이 하늘을 찌를 듯이 맹렬하게 돌아갑니다. 숨 가쁘게 움직이는 속도계와는 달리 실내는 고요하다. 1열 윈도에 이중 접합 유리를 이용한 것은 물론 엔진음과 배기음이 없는 전기차의 특성상 풍절음과 노면 소음이 주목받는 것을 막기 위해 방음에 수없이 많은 신경을 쓴 듯한 모습입니다.
고속 직진 안정성과 의외의 코너링 성능은 꽤 재밌는 운전이 가능하게 합니다. 그러나 요철을 넘어갈 땐 조금은 단단하게 세팅된 서스펜션 때문에 벤츠 특유의 부드러움과는 거리가 있습니다.
EQC의 매력은 고속주행에서 드러난다 합니다. 특히 수준 높은 반자율 주행 시스템을 탑재해 장거리 운전 stress를 줄여준다. 차간 거리를 유지하는 것은 물론, 차선 유지 기능, 교차로 감지 기능이 포함된 액티브 제동 도움, 사각지대 경고, 하차 경고, 충돌 회피 방향전환 도움, 차선 이탈 방지, 전방 충돌 방지 등 다양한 안전장비를 대거 탑재했습니다. 주행에서 이용해 보면 위험이 적은 앞차 간격 유지는 물론 차선 인식률도 뛰어나다.
EQC의 1회 충전 최대 주행거리는 309km다. 80kWh의 리튬 이온 배터리는 급속 충전(최대 110kW 출력) 시 약 40분 이내에 80%까지 충전할 수 있습니다. 만일 완속 충전을 한다면 11시간 이상 소요됩니다. 전기차 구매를 갈등했던 고객 중 끝내 구매를 포기하는 상당수의 이유는 충전소 부재다. 벤츠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충전 설루션을 제시합니다. 먼저 EQ 스마트 코치 서비스는 EQC를 구매한 고객에게 1:1로 스마트 코치를 배정해 충전 컨설팅을 제공합니다. 고객의 집 또 원하는 장소에 가정용 충전기 설치 여부를 확인하는 등 자동차 이용 패턴에 최적화한 충전 방식을 제안합니다. 두 번째는 전국 대다수의 공용 충전소에서 이용 가능한 ‘메르세데스 미 차지 회원증’ 발급입니다. 결제 지식만 등록해 두면 공용 충전소에서 이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메르세데스-벤츠의 ‘목적지 충전소’에서 무료로 충전할 수 있습니다.
메르세데스-벤츠코리아는 2019년 EQC 구매 고객만 주거 환경에 따라 홈 충전기 무료 설치 또 1년간 충전을 무제한으로 이용할 수 있는 충전 카드를 제공합니다.
벤츠의 처음 전기차 EQC는 여러모로 완성도는 높아 보입니다. 만족할만한 1회 충전 가능 거리를 갖춘 것은 물론 수준 높은 반자율 주행, 깔끔한 주행성능까지 갓 쳤다고 합니다.
발목을 잡는 유일한 걸림돌은 가격표다. 1억500만 원에 달하는 높은 가격은 구매를 망설이게 합니다. 메르세데스-벤츠의 ‘삼각별’이 꼭 필요하지 않다면 이보다 비싸지 않은 다른 브랜드들의 전기차를 장바구니에 담을 수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훨씬 더 큰 테슬라 모델 X다. 요번 해 초 나온 재규어 전기차 I-PACE 역시 높은 가격(1억 650만 원부터)으로 쓴맛을 볼 수밖에 없었습니다.
벤츠의 전기차가 벤츠 명성을 유지하기 위해선 경쟁사를 압도할 비장의 무기가 필요해 보입니다. EQC의 뒤를 이어 EQV, EQS 등이 출격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전기차 시대에 벤츠가 가야 할 길은 험난해 보입니다.
'자동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벤츠 GLB 단점 가격 (0) | 2021.03.04 |
---|---|
벤츠 A220 시승기 가격 (0) | 2021.03.03 |
벤츠 뉴 스프린터 ‘디바인 5’ 차 내부 시승후기와 가격 (0) | 2021.03.01 |
벤츠의 신형 E-클래스 마일드 하이브리드 (0) | 2021.03.01 |
벤츠 더 뉴 E클래스 시승기 가격 (0) | 2021.03.01 |
댓글